728x90
반응형
서양 철학사: 경험론과 합리론의 시대적 배경과 대표 철학자들
경험론(Empiricism)
시대적 배경
경험론은 17세기와 18세기에 영국을 중심으로 발달했습니다. 이 시기는 과학 혁명이 일어나면서 실험과 관찰을 통해 자연 세계를 이해하려는 시도가 활발했던 시기였습니다. 경험론 철학자들은 모든 지식이 감각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습니다.
대표 철학자와 중요 개념
- 프랜시스 베이컨(Francis Bacon):
- 대표 명언: "지식은 힘이다."
- 중요시한 내용: 베이컨은 과학적 방법론의 창시자로, 귀납법을 통해 지식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했습니다. 그는 경험을 통해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.
- 존 로크(John Locke):
- 대표 명언 : "인간의 마음은 백지와 같다. 모든 지식은 경험을 통해 쓰여진다."
- 중요시한 내용: 로크는 인간의 마음이 태어날 때 아무런 지식도 없는 백지(tabula rasa) 상태라고 주장했습니다. 그는 모든 지식이 감각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보았으며, 이는 교육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.
- 조지 버클리(George Berkeley):
- 대표 명언 : "존재하는 것은 인식되는 것이다."
- 중요시한 내용: 버클리는 우리가 인식하는 것만이 실재한다고 주장하며, 물질적 세계의 존재를 부정했습니다. 그의 철학은 주관적 경험을 강조하며, "물질"이라는 개념 자체를 부정합니다.
- 데이비드 흄(David Hume):
- 대표 명언 : "인간의 지식은 경험을 초월할 수 없다."
- 중요시한 내용: 흄은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만이 확실하다고 보았습니다. 그는 경험을 넘어서는 모든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취하며, 원인과 결과의 관계도 습관적 연결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.
현대에서의 활용
- 과학적 연구: 경험론의 영향으로 현대 과학은 실험과 관찰을 중시합니다.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가 되는 철학적 사조이기도 하죠.
- 교육: 학습 이론에서도 경험론의 영향이 큽니다.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고 탐구하는 교육 방식이 중요시됩니다.
합리론(Rationalism)
시대적 배경
합리론은 17세기와 18세기에 대륙 유럽, 특히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전했습니다. 이 시기는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을 거치며 이성의 힘을 강조하던 시대였습니다. 합리론 철학자들은 이성이 지식의 주요 원천이라고 주장했습니다.
대표 철학자와 중요 개념
- 르네 데카르트(René Descartes):
- 명언: "나는 생각한다, 고로 존재한다."
- 중요시한 내용: 데카르트는 이성적 사유를 통해 확실한 지식을 추구했습니다. 그는 자신의 존재를 의심할 수 없는 출발점으로 삼아, 모든 진리를 이성을 통해 탐구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.
- 바뤼흐 스피노자(Baruch Spinoza):
- 대표 명언 : "신과 자연은 동일하다."
- 중요시한 내용: 스피노자는 모든 것이 하나의 실체, 즉 신 또는 자연에 포함된다고 주장했습니다. 그의 철학은 이성적 이해를 통해 자연의 법칙을 깨닫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.
-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(Gottfried Wilhelm Leibniz):
- 대표 명언 : "이 세상은 가능한 세계들 중 최선의 세계이다."
- 중요시한 내용: 라이프니츠는 이성을 통해 우주를 이해하려 했습니다. 그는 논리와 수학을 통해 세계를 설명하고자 했으며, 이 세계가 최선의 세계라고 주장했습니다.
현대에서의 활용
- 수학과 논리학: 합리론은 수학과 논리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. 현대의 많은 과학 이론은 합리론적 기초 위에서 구축되었습니다.
- 철학적 사고: 합리론은 논리적 사고와 이성적 판단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. 이는 현대 철학과 일상적 문제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경험론과 합리론은 서로 다른 관점에서 지식을 탐구하지만, 둘 다 현대 철학과 과학의 중요한 기초를 형성했습니다. 이 두 철학적 사조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더 깊은 지식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.
반응형
'liam의 철학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순자의 성악설 vs 맹자의 성선설 "사람은 태어났을때부터 착한가 나쁜가?" (2) | 2024.07.12 |
---|---|
달마(Dharma)는 왜 동쪽으로 갔을까? (0) | 2024.06.20 |
율곡이이와 퇴계이황의 이기론에 관하여 (0) | 2024.06.18 |
마음의 평온을 찾는 여행 - 아타락시아(쾌락주의)와 아파테이아(이성주의) 비교 (0) | 2024.06.18 |